로그인
환영합니다! 귀하의 계정에 로그인하세요.
[외교부] 2024-25년 임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 대비 국내 학계 초청 간담회 참석
한국유엔체제학회는 8월 30일(수) 외교부가 개최한 2024-25년 임기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 대비 국내 학계와의 간담회에 참석하여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을 위한 의견을 개진하였습니다. ※ 참석자 및 발표 주제 o 주재우 경희대 교수(학회장 대리) : 유엔 안보리 진출 대비 사항 o 박흥순 선문대 명예교수 : 안보리 개혁논의와 한국의 과제 o 송영훈 강원대 교수 : 글로벌 인도적 위기 해결을 위한 안보리의 역할 o 문경연 전북대 교수 : 공적개발원조(ODA) 분야 국제기구 협력관리자
2023.09.04
2023 한국유엔체제학회 하계학술대회 개최 결과
한국유엔체제학회와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이 공동주최한 「2023 한국유엔체제학회-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국제학술대회 – 유엔 체제와 대한민국: 성찰과 전망」이 2023년 7월 13일(목) 오전 10시부터 7월 14일(금) 오후 2시까지 양일간 강원대학교 미래도서관 정강홀에서 개최되었다.이번 학술대회는 학계와 국내 주재 유엔사무소 및 유관 기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한국의 발전 과정 속 유엔과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고, 현 유엔 체제 속 한국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역대 세 번째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2024~2025년)에 선출된 대한민국이 유엔 체제 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이번 학술대회는 복합 위기 상황에서 한국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토론의 장이였다.컨퍼런스는 한국에 주재하는 UN기구 대표들 및 유관기구 대표들을 초청하는 2개의 특별 패널을 기획하였다. 1일차인 7월 13일(목)의 패널 3에서는 한국에 주재하는 UN기구 대표 및 대리대표들을 초청하여 변화하는 UN 시스템 내 한국의 미래 역할과 과제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2일차인 7월 14일(금)의 패널 5에서는 UN 유관기관장들을 초청하여 주제 분야별 UN 아젠다의 국내 이행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그밖에도 UN 시스템 내 한국의 발전 역사, 인권과 이주, post-SDG 파트너십 등 주요 UN 의제들의 현황과 한국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는 패널들도 마련되었다. 학술대회 개회식에서는 최동주 한국유엔체제학회장의 개회사와 김대중 강원대학교 교학부총장의 환영사, 박용민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및 곽영훈 유엔한국협회장의 축사가 이어졌다.학술대회 1일차인 7월 13일(목)에는 총 3개의 패널이 개최되었다.패널 1“변화하는 세계와 유엔 의제의 새로운 탐색: 인권과 이주(일반세션)”에서는 김헌준 고려대학교 교수가 ‘미중 갈등 시대의 한미 가치 규범 협력: 인권과 민주주의’ 및 김정현 성균관대학교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이 ‘난민의 보충적 유입경로를 위한 행위자의 다각화’ 주제로 발제하였다.패널 2 “유엔과 한국 관계의 역사적 조명”에서는 채리아 서울대학교 강사가 ‘1970년대 유엔에서의 한국문제 처리과정 연구’, 이상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이 ‘1950년대 이후 유엔군사령부 변화와 그 특징’, 그리고 박태균 서울대학교 교수가 ‘1948-1950 한국에 대한 유엔 결의문 연구’에 대해 발제하였다.유엔사무소 초청 기획세션에 해당하는 패널 3 “유엔 체제와 한국의 역할”에서는 솅야오 탕 유엔식량농업기구 한국협력연락사무소 소장,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서울사무소 소장, 전혜경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대표, 하예진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프로그램담당관, 김한결 유엔국제상거래법위원회 아태지역사무소 법률전문위원, 한석진 유엔세계식량계획 한국사무소 조정관, 그리고 이재호 국제이주기구 한국대표부 정책담당관을 패널리스트로 초청하여 유엔 체제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주요 글로벌 이슈들을 중심으로 당면 과제에 관하여 논의했고 한국의 역할에 대해서도 여러 심도 깊은 토의가 이루어졌다.학술대회 2일차인 7월 14일(금)에는 총 2개의 패널이 개최되었다.먼저 패널 4 “Post-SDGs UN 파트너십(일반세션)” 패널에서는 곽주영 연세대학교 교수가 ‘사회적 기대와 성과: 한국의 SDG 파트너십’ 및 홍문숙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가 ‘국제기구 자발적 기여 잠재력 평가 가능성과 도전과제’를 주제로 발제하였다.유엔 유관기구 초청 기획세션에 해당하는 패널 5 “UN의제와 한국의 협력·이행 전략”에서는 임현묵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장이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한국의 이니셔티브’, 김중헌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이사가 ‘UN의제와 유네스코국제무예센터의 SDGs 이행전략’, 조현주 유네스코 석좌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선임연구위원이 ‘UNESCO Chair 로서의 KISS, 역할과 기대’, 그리고 유연철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이 ‘ESG, SDGs 및 유엔글로벌콤팩트’를 주제로 발제하였다.이번 「2023 한국유엔체제학회-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국제학술대회 – 유엔 체제와 대한민국: 성찰과 전망」은 학계·연구소, 유엔사무소, 유엔 유관기구, 관련 전문가, 대학(원)생 등 관심 있는 누구나 사전등록을 통해 학술대회 현장 참석이 가능했고, 한국유엔체제학회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kacuns7224)을 통해 시청가능하다.관리자
2023.08.25
2023 한국유엔체제학회-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국제학술대회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 최동주 회장은 7월 13일(목)부터 14일(금)까지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과 함께 '유엔 체제와 대한민국: 성찰과 전망'을 주제로 하는 하계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최동주 한국유엔체제학회장의 개회사와 김대중 강원대학교 교학부총장의 환영사, 박용민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및 곽영훈 유엔한국협회장의 축사가 이어질 예정입니다.이번 행사는 영어로 진행되며,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3LAJxAXezm-_eKsXJbWJ9A을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관심있는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관리자
2023.07.07
[국립외교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과 유엔에서의 한국의 역할」 공개회의
한국유엔체제학회 최동주 회장은 2023년 6월 15일 국립외교원에서 주최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과 유엔에서의 한국의 역할」 공개회의에 참여하여 안보리 이사국 활동의 의미와 과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관리자
2023.06.16
[2023 유엔외교 국회포럼] 한국의 UN 안보리 진출 추진과 유엔외교 국회 포럼
한국유엔체제학회 최동주 회장은 2023년 5월 2일 유엔한국협회와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한 ‘유엔외교 국회포럼’에 참석하여 한국의 UN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추진 및 유엔외교 확대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였습니다.관리자
2023.05.09
한국유엔체제학회, 신임 회장에 최동주 숙명여대 교수 선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1월 25일(수)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개최한 2023년 정기총회에서 신임 회장으로 최동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를 선출했다. 신임 회장의 임기는 2023년 2월 1일부터 2025년 1월 31일까지 총 2년이다. 최동주 회장은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아메리칸대학교(American University)에서 국제정치경제학 석사,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에서 정치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 회장은 한국아프리카학회 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왔고, 2016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인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또한 유엔 수석 컨설턴트와 유네스코 석좌교수를 역임하며 유엔의 개발도상국 정부 거버넌스 역량 강화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여성의 권리 향상 관련 활동에 참여해왔다. 『유엔과 한국 1945-1973: 건국, 평화, 경제 성장의 파트너십』, 『국제기구의 과거, 현재, 미래』등 다수의 유엔 관련 저서를 공동으로 펴냈으며, 한국의 다자외교에 관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해왔다. 최 회장은 “글로벌 가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강조되는 시기에 한국유엔체제학회를 통해 국제협력에 관한 학술적 연구와 논의가 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관리자
2023.02.01
Routledge 출판 8차 편집회의
한국유엔체제학회는 2023년 1월 17일 여덞번 째 Routledge 책 출판 관련 편집회의를 가졌습니다.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유엔체제학회 이신화 회장, 박재적 출판이사, 그리고 Routledge Studies on Think Asia의 Series Editor인 Jagannath Panda 박사가 참여하였습니다.관리자
2023.01.18
'2022 북한인권 국제대화'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 이신화 회장(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은 12월 14일(수) 09:00-13:00 통일부와 함께 '2022 북한인권 국제대화'를 개최합니다.이번 행사에서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개회사,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축사하며, 이신화 회장이 세션들을 주재합니다.이번 행사는 한국어와 영어로 동시통역되며, 유튜브 채널 www.youtube.com/@mounikorea 을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관심있는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관리자
2022.12.13
Routledge 출판 7차 편집회의
한국유엔체제학회는 2022년 11월 13일 일곱번 째 Routledge 책 출판 관련 편집회의를 가졌습니다.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유엔체제학회 이신화 회장, 박재적 출판이사, 그리고 Routledge Studies on Think Asia의 Series Editor인 Jagannath Panda 박사가 참여하였습니다.관리자
2022.11.14
변화하는 다차원 안보환경에 따른 PKO 대응전략 세미나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국방대학교 국제평화활동센터, 한국국방외교협회와 함께 6월 30일 09:30~15:00 서울 공군호텔에서 제18회 PKO 발전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였습니다.관리자
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