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환영합니다! 귀하의 계정에 로그인하세요.
2025 한국유엔체제학회-통일부 공동세미나 개최
『북한 인도적 위기 대응과 국제 협력: 지속 가능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다』2025년 7월 1일, 한국유엔체제학회와 통일부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국제회의실에서 『북한 인도적 위기 대응과 국제 협력: 지속 가능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다』라는 주제로 공동 학술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과 열악한 의료환경,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제1세션에서는 NGO의 대북지원 성과와 국제기구의 지원 현황, 동남아 국가들의 조용한 외교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제2세션에서는 남북 간 국제개발협력 경험을 적용한 환경·재난 분야 협력과 기후위기 대응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라운드테이블에서는 국경없는의사회,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월드비전,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등 전문가들이 지속 가능한 다자협력 및 민간 중심의 협력 전략을 강조했습니다.참여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관리자
2025.07.08
한국유엔체제학회-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제주평화연구원 공동학술회의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지난 2025년 5월 30일(금) 제주평화연구원에서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및 제주평화연구원과 공동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소다자주의의 역할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온대원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원장과 이신화 고려대 교수(전 한국유엔체제학회 회장)가 각 세션의 사회를 맡았으며, 발표 이후 종합토론도 진행되었습니다.관리자
2025.06.11
제20회 제주포럼 특별세션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지난 2025년 5월 29일(목)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제20회 제주포럼 특별세션 「UN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대한민국과 혁신」을 개최하였습니다.이번 세션에서는 식량위기, 북한 인권문제, 난민 보호 및 글로벌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이 UN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 역할과 전략을 논의하였습니다. 좌장은 온대원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원장이 맡았으며, 유엔식량농업기구 솅야오 탕 소장,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제임스 히난 대표,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김새려 대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임현묵 원장이 발표를 진행했습니다.토론에는 외교부 유엔안보리 담당 이경철 고위대표와 이신화 고려대 교수(전 한국유엔체제학회 회장)가 참여했습니다.관리자
2025.06.11
기후행동 공동 컨퍼런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전과 기회>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2024년 11월 28일 한국에너지공단과 공동으로 기후행동 공동 컨퍼런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전과 기회”를 개최했습니다. 컨퍼런스는 최동주 한국유엔체제학회 회장님의 환영사와 신부남 한국에너지공단 기후대응이사님의 개회사, 문시연 숙명여자대학교 총장님의 축사로 시작하였으며, △UN 및 국제사회의 기후변화대응 정책 현황과 전망, △기후행동 주요 주체별 기후변화대응 정책 현황과 역할, △국내 지속가능 기업 및 기관의 현황과 이슈 등 세 개 세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세션에는 대학, 공공기관, 기업에서 활동하는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국내외 정책적 논의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관련 기술 산업의 현황과 이슈를 심도있게 논의하였습니다.관리자
2024.12.02
학술회의 <동북아 안보 복합지형 평가와 유엔사 후방 기지> 공동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2024년 10월 30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과 공동으로 “동북아 안보 복합지형 평가와 유엔사 후방 기지”를 주제로 한 학술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 1주년을 맞은 동북아 지역의 복합적인 안보환경을 다각도로 평가하였으며,한·미·일 안보협력과 북·중·러 연대가 대치하고 있는 맥락에서 일본에 있는 유엔사 후방 기지의 전략적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관리자
2024.12.02
제23회 동아시아 유엔체제학회 세미나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2024년 9월 27-29일 일본유엔체제학회가 주관하고, 한국과 일본, 중국 유엔체제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제23회 동아시아 유엔체제학회 세미나"에 참석하였습니다.이번 국제 세미나는 교육, 환경, 비즈니스, 파이낸스 등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한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한국과 일본, 중국 유엔체제학회의 임원 및 회원, 유엔 관련 전문가들이 발표와 토론에 참여하였습니다.관리자
2024.10.08
[한국유엔체제학회] 외교부 간담회 개최
한국유엔체제학회는 8월 26일(월) 외교부 국제기구 및 유엔 안보리 담당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서는 한국의 우리나라의 2024-25년 임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 현황을 평가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기여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한국유엔체제학회 참석자 : 최동주 숙명여대 교수(학회장), 주재우 경희대 교수(부회장), 최현진 경희대 교수, 문경연 전북대 교수(총무이사), 임현묵 유네스코국제이해교육원장, 강우철 한국수출입은행 책임연구원(한중일협력이사) ※ 외교부 참석자 : 이경철 유엔 안보리 담당 고위대표, 유병석 국제기구·원자력국 협력관, 홍승인 국제법률국 심의관, 이현승 국제안보·사이버협력과장, 임효선 아프리카1과장외교부 보도자료 보기 (click)관리자
2024.08.29
제19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세션 영상
지난 5월 30일에 개최된「2024 제주포럼」"UN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대한민국: 역할과 과제" 세션 공식 기록영상은 하기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youtu.be/OHy84TAnjqc?si=wZhEtnzTDSUW3IkB관리자
2024.07.16
제19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세션 개최 결과
2024년 5월 30일 "제19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한국유엔체제학회가 세션을 개최했습니다.유엔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역할 및 난관(Republic of Korea as a Non-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 Roles and Challenges)을 주제로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세션은 제주평화연구원과 공동 주최했고 하인리히 뵐 재단(Heinrich Boell Foundation)에서 지원 받았습니다.관리자
2024.06.07
경기도 2023년 국제개발협력사업 초청연수 결과
한국유엔체제학회는 '아태지역 지방정부 ODA 역량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UCLG ASPAC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Asia-Pacific) 회원국 지방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초청연수(Advanced Training on Strategic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rafting Effective PCPs and Building Collaborative Partnerships for Green ODA)를 진행하였다. 2월 19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연수는 아태지역 지방정부 간 ODA 지식 및 사례를 공유하고 ODA 선진화를 위한 전략적 방향으로서 HDP Nexus 기반 Green ODA에 대해 논의하며 PCP 작성 실습을 통해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잠재적인 사업의 주체성 및 원조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초청 연수자는 UCLG ASPAC 회원국의 지방정부 공무원 8명(인도네시아 3명, 네팔 2명, 캄보디아 1명, 한국 2명)이었다. 이번 연수에는 KOICA 기후변화대응팀, 국제개발컨설팅 코닥, 아프리카연구교육개발원, 한국수출입은행, 통일연구원에서 프로젝트 관리, PCP 작성, HDP Nexus에 대해 강의를 진행하였고, KOICA, 한국지역난방공사, 국립농업박물관을 견학하였다. 연수 마지막 날에는 최동주 한국유엔체제학회 회장이 참가자들의 발전된 PCP에 피드백을 주었다. 이후 폐회식에서 연수 참가자들에게 수료증을 전달하고 초청연수가 마무리되었다.관리자
2024.02.27